1 |
우선선정대상(보호종료, 장기미취업,대학비진학, 가족돌봄)청년 확인서류는 무엇인가요? |
답변 |
-보호종료청년: 보호종료확인서 또는 종료사실증명서
-장기미취업청년(2년이상):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이력내역서(고용보험자격이력내역서)에서 확인
-대학비진학청년: 사실확인·서약서(사전인터뷰시 본인작성), 추천서(담임교사 등)_제출가능시
-가족돌봄청년: 사실확인·서약서(사전인터뷰시 본인작성), 추천서(사회복지사 등)_제출가능시 |
2 |
지역제작소(서울,성남,원주)선택에 있어서 해당지역 주소지에 거주해야 지원가능한가요? |
답변 |
아닙니다. 청년다다름사업은 심층상담으로 관리가 되기때문에 지역제작소를 방문상담하는것에 문제가 없으시면 주소지가 상이하더라도 가능합니다. 예를들어 서울은 서울과 수도권이면 가능합니다. |
3 |
청년다다름사업이란? |
답변 |
청년들과 지속적으로 만나 상담하면서 다양한 어려움을 함께 고민하며 1:1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사업입니다. 취업과 창업의 꿈을 이룰 수 있도록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지원하고, 안정적으로 프로그램에 집중할 수 있도록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하며, 생활기술·자기발견·자립지원(라이프코칭,진로설계,현직자멘토링 등)을 위한 지원을 합니다. |
4 |
청년다다름사업은 무엇을 지원해 주나요? |
답변 |
1.개인별 맞춤형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심층상담 및 지속적인 생활형 밀착 상담
2.개인별 진로 목표 및 취업방향을 반영한 맞춤형 프로그램
3.심리상담 및 제작소 특화프로그램, 교육훈련 지원
4.생활기술·자기발견·자립지원(라이프코칭,진로설계,현직자멘토링 등)을 위한 지원
5.삶의 질 향상지원(식비지원, 종합건강검진지원 등)
6.사회진입지원(취업 및 청년지원사업 정보 공유)
7.청년전용공간 |
5 |
지원대상은 누구입니까? |
답변 |
만 19-34세 이하 청년으로, 기준중위소득 150%이하 가구구성원 중 미취업 청년 (신청일기준)
-신청제외대상
① 현재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자(주 15시간 미만자 제외)
② 실업급여 수급자
③ 고등학교 및 대학교,대학원 재학생(2022년 2월 졸업예정자 신청가능)
④ 청년재단 사업 중 청년맞춤형지원사업 기 참여자, 청년신문고사업, 청년톡톡사업, 청년 학자금 상환 플랫폼, 청년 체인지업 프로젝트 참여자
-우대대상
① 보호종료청년: 아동복지시설에서 퇴소하거나 가정위탁이 종료된 보호종료 청년
② 장기미취업청년: 최근 2년 이상 미취업 청년(파트타임 제외)
③ 대학 비진학 청년 : 최종학력이 고졸 이하인 청년(검정고시, 특성화고 졸업(예정)자 등)
④ 가족돌봄청년 : 장애나 질병이 있는 가족을 부양하는 청년, 자녀를 양육 중인 미혼부모
|
6 |
신청 시, 어떤 서류를 제출합니까? |
답변 |
공통서류 및 안내사항
|
소득분위 확인을 위한 제출서류
|
1. 주민등록등본
2. 가족관계증명서
3.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이력 내역서(피보험자용)
※납부이력이 없는 경우, 이력서 출력 → 화면 캡처 후 제출
※주 15시간 미만 근로시간 확인이 가능한 별도의 증빙자료 (ex.근로계약서)제출시 인정
|
기초생활수급자
|
수급자증명서
|
차상위계층
|
차상위계층확인서, 차상위 본인부담 경감 대상자 증명서, 자활 근로자 확인서, 한부모가족증명서
|
기준중위소득 150%이하
가구구성원
|
1)건강보험료 3개월 납부확인서(신청월 직전 3개월)
2)건강보험 자격확인(통보)서
3)건강보험득실확인서
(3종 필수)
주민등록등본 상 가구구성원 전원 소득확인
※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한 기준중위소득 150%이하 가구구성원 기준표 참고
|
|
7 |
어떻게 신청할 수 있습니까? 절차가 어떻게 진행됩니까? |
답변 |
1. 청년재단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(신청시, 거주지 근교 제작소 선택-서울,성남,원주)
2. 개인별 사전인터뷰 (신청시 선택한 제작소, 사전 인터뷰 시, 증빙서류 제출)
3. 선정심의
4. 선정 및 대상자 발표 |
8 |
기준중위소득 150%이하의 기준은 무엇입니까? |
답변 |
2022년 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한 기준중위소득 150%이하 가구구성원 (노인장기요양보험료 포함)
(단위: 원)
구 분
|
소득기준
|
직장가입자
|
지역
가입자
|
혼합
(직장+지역)
|
1인가구
|
2,917,218
|
115,461
|
86,523
|
|
2인가구
|
4,890,128
|
192,423
|
197,080
|
195,024
|
3인가구
|
6,293,552
|
251,173
|
272,802
|
255,582
|
4인가구
|
7,681,620
|
306,064
|
340,666
|
313,831
|
5인가구
|
9,036,773
|
358,998
|
398,178
|
375,714
|
6인가구
|
10,360,506
|
415,948
|
458,199
|
447,194
|
7인가구
|
11,670,888
|
488,260
|
530,325
|
531,262
|
8인가구
|
12,981,270
|
531,262
|
574,709
|
574,496
|
9인가구
|
14,292,000
|
574,496
|
616,984
|
637,548
|
10인가구
|
15,602,000
|
637,548
|
676,719
1
|
745,355
|
|
9 |
주민등록표등본은 어떻게 발급 받나요? |
답변 |
(공동인증서가 있는 경우-온라인발급)
정부24(https://www.gov.kr/portal/main) → 민원서비스 → 중앙민원 → 주민등록표등본교부 → 신청 → 공인인증서 등록 → 공인인증서 로그인 → 주민등록표등본교부(전체포함 표시,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세대원 체크 해제) → 민원신청하기
(공동인증서가 없는 경우-방문 발급)
시,군,구/읍,면,동 주민센터 접수, 발급 |
10 |
수급자증명서는 어떻게 발급 받나요? |
답변 |
(공동인증서가 있는 경우-온라인발급)
정부24(https://www.gov.kr/portal/main) → 민원서비스 → 중앙민원 → 테마별 민원 → 국민기초생활수급자증명 → 내용입력 → 민원신청하기
(공동인증서가 없는 경우-방문 발급)
동 주민센터 및 자치구청 접수, 발급 |
11 |
차상위계층 확인서는 어떻게 발급 받나요? |
답변 |
(공동인증서가 있는 경우-온라인발급)
국민건강보험(http://www.nhis.or.kr) → 민원신청 → 개인민원 → 자격 → 차상위본인부담경감증명서 발급
(공동인증서가 없는 경우-방문 발급)
동 주민센터 및 자치구청 접수, 발급 |
12 |
건강보험 자격확인(통보)서는 어떻게 발급 받나요? |
답변 |
(공동인증서가 있는 경우-온라인발급)
국민건강보험(http://www.nhis.or.kr) → 민원신청 → 개인민원 → 자격 → 자격확인서 발급
(공동인증서가 없는 경우-팩스 발급)
국민건강보험 고객상담전화(1577-1000) - 팩스로 발급요청
(공동인증서가 없는 경우-방문 발급)
국민건강보험 지사 방문 접수, 발급
(공동인증서가 없는 경우-팩스 발급)
자치단체 무인민원발급창구 발급가능 |
13 |
건강보험 보험료 납부확인서는 어떻게 발급 받나요? |
답변 |
(공동인증서가 있는 경우-온라인발급)
국민건강보험(http://si4n.nhis.or.kr/jpza/JpZaa00102.do) → 제증명발급 → 증명서 발급 → 납부확인서 → 조회 → 출력
(공동인증서가 없는 경우-방문 발급)
국민건강보험 지사 방문 접수, 발급
*피부양자일 경우, 건강보험 가입자(세대주)의 납부확인서를 제출해야 함.
(공동인증서가 없는 경우-팩스 발급)
자치단체 무인민원발급창구 발급가능 |
14 |
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이력내역서(피보험자용)는 어떻게 발급 받나요? |
답변 |
(공동인증서가 있는 경우-온라인발급)
고용·산재보험토털서비스(http://total.kcomwel.or.kr) → 공동인증서 로그인(개인) → 증명원신청/발급 → 고용·산재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 → 인쇄, 이메일 발송
(공동인증서가 없는 경우-팩스 발급)
근로복지공단 고객상담전화(1588-0075)
|
15 |
서류는 어떻게 제출하나요? |
답변 |
사전 인터뷰 진행 시, 제출합니다. |
16 |
청년맞춤제작소는 무엇을 하는 곳인가요? |
답변 |
'청년맞춤제작소'는 청년다다름사업을 운영하기 위해 청년재단에서 지역에 설치한 장소입니다. 본 사업의 상담, 개인 맞춤형 프로그램 등이 본 장소에서 진행됩니다. 명칭은 "청년맞춤제작소 in00(지역명)"입니다. |
17 |
기존 다른 청년지원사업과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? |
답변 |
청년다다름사업은 개별 맞춤 지원이 꼭 필요한 청년을 연간 30명 선발하여 1:1 개별 밀착형으로 취·창업과 안정적인 삶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다릅니다. |
18 |
지원 금액이 어떻게 되나요? |
답변 |
1인당 총 240만원 한도 내에서 개인별 프로그램이 설계되어 지원됩니다. (식비 및 건강검진 비용 제외) |
19 |
식비는 어떻게 지원되나요? |
답변 |
식비카드를 별도로 지정된 은행에서 발급받아야하며, 매달 200,000포인트를 총 6개월에 걸쳐 지급됩니다. 1일 한도는 20,000원이며, 출금되지 않습니다. |
20 |
본인인증이 어려워서 청년재단에 회원가입이 안돼요. |
답변 |
핸드폰 인증 방식만이 아닌 i-pin인증 방식도 있습니다. 인근 주민센터를 방문해서 i-pin발급을 받으시면 홈페이지에 가입이 가능합니다.
|